MIG/CS
[CS지식] 네트워크 계층 지식 정리하기-OSI 7계층
kilog
2024. 5. 8. 01:43
728x90
안녕하세요 ki입니다.
개발을 하면서 부족했던 CS지식들을 공부 중입니다. 애증의 정처기에도 도움이 되고 이해하는 것에 도움이 되어
cs 공부를 먼저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그중 네트워크는 이해하기 힘들어서 중점적으로 공부하려고 합니다.
OSI 7계층
정처기에서도 단골 문제로 등장하는 개념입니다. 저는 수제비로 공부를 했었는데 "아파서 티 내다 피"나다 로 외웠는데
무작정 외우려고 하다 보니 기억하기가 쉽지가 않았고 긴가민가 합니다.
데이터를 송신할 때에는 송신부 높은 계층에서 낮은 계층으로 전달하고 수신부에 낮은 계층으로 전달되고 낮은 계층부터 높은 계층으로 데이터가 흐릅니다. 몰랐던 사실 중에 데이터를 송신할 때 헤더(header)와 트레일러(trailer)가 붙고 이과정을 캡슐화라고 부르는 걸 알게 됐습니다.
정리하면 송신부에서 높은 계층에서 낮은 계층으로 이동하면서 캡슐화가 진행되고 수신부 낮은 계층에 도착 후 높은 계층으로 이동하면서 헤더와 트레일러를 제거하는 역캡슐화가 진행됩니다.
※ 헤더: 데이터 패킷의 시작 부분에 위치하며, 해당 패킷의 데이터의 출처, 목적지, 크기, 타입, 버전 등과 같은 정보인 메타데이터를 포함
※ 트레일러 : 데이터 패킷의 끝 부분에 위치하며, 보통 오류 검출 코드나 데이터의 무결성을 확인하는 데 사용
- 7 계층(응용 계층) : HTTP, FTP 등의 프로토콜을 응용 프로그램의 UI를 통해 제공
- 6 계층(표현 계층) : 데이터 표준화된 형식을 변경
- 5 계층(세션 계층) : 세션의 유지 및 해제 등 응용 프로그램 간 통신 제어와 동기화
- 4 계층(전송 계층) :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전달을 위한 계층 TCP, UDP 같은 전송 방식과 포트(PORT) 번호 등을 결정
- 3 계층(네트워크 계층) : 데이터를 송신부에서 수신부까지 보내기 위한 최적 경로를 선택하는 라우팅을 수행 이때 선택한 최적 경로를 라우트(route)라고 장비로는 라우터(router)가 있음
- 2 계층(데이터 링크 계층) : 데이터 흐름을 관리하며 데이터의 오류 검출 및 복구 등을 수행 장비는 브리지(bridge), 스위치(switch), 이더넷(ethernet)이 해당
- 1 계층(물리 계층) : 데이터를 비트(bit) 단위의 0과 1로 변환한 후 장비를 사용해 전송하거나 전기 신호를 데이터로 복원 장비는 리피터(repeater), 허브(hub)가 해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