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linux 11

[Linux] 재 시작 해야 하는데 shutdown이 안된다...

안녕하세요 ki입니다.이번 Exp는 최근에 업무 중 경험한 shutdown 오류입니다.업무 중에 부득이하게 서버를 재기동해야 하는 상황에서였습니다.shutdown 후 startup을 하려던 찰나...Java HotSpot(TM) 64-Bit Server VM warning: ignoring option MaxPermSize=512m; support was removed in 8.0Java HotSpot(TM) 64-Bit Server VM warning: INFO: os::commit_memory(0x00000000a0000000, 1073741824, 0) failed; error='Cannot allocate memory' (errno=12)## There is insufficient memory f..

Exp/Linux 2024.05.17

[Linux] 리눅스에서 파일에 암호화를 걸어보자

안녕하세요 ki입니다.이번 Exp는 리눅스에서 파일에 암호화 걸기입니다.프로젝트 당시에는 db정보라던지 중요 데이터가 들어있는 쉘스크립트를 암호화를 걸어달라는 요청을 받아 암호화를 진행했었습니다.  www.datsi.fi.upm.es/~frosal/ Francisco Rosales, home pageFrancisco Javier Rosales García www.datsi.fi.upm.es해당 링크에 shc-3.80b.tgz를 받아 서버에 압축을 풀어서 사용합니다. # 압축해제tar xvfz shc-3.8.9b.gz# shc 설치make install # shc 암호화 실행shc -f test.sh# 암호화가 실행되면 test.sh가 test.sh.x로 변환# 암호화 파일 실행./test.sh.x  sh..

Exp/Linux 2024.05.07

[Linux] crontab으로 mysql dump를 뜨자

안녕하세요 ki입니다.이번 Exp는 crontab으로 mysql dump입니다.이전 글에서는 crontab 기본적인 지식을 공유했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제가 업무에서 담당했던 백업 스크립트를 작성 후 crontab 설정에서백업스크립트 작성 방법을 공유하려 합니다.2024.05.06 - [Exp/Linux] - [Linux] crontab을 알아보자 [Linux] crontab을 알아보자안녕하세요 ki입니다.이번 Exp는 리눅스 크론탭(crontab)입니다.솔루션 프로젝트에 참여했을 시기에 크론탭으로 일정시간마다 백업되는 부분을 개발한 적이 있습니다.그럴 때 이용한 게 crontab이었kkkkt.tistory.com   mysqldump# 전체 데이터베이스 백업mysqldump -h [호스트] -u [사용..

Exp/Linux 2024.05.07

[Linux] crontab을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ki입니다.이번 Exp는 리눅스 크론탭(crontab)입니다.솔루션 프로젝트에 참여했을 시기에 크론탭으로 일정시간마다 백업되는 부분을 개발한 적이 있습니다.그럴 때 이용한 게 crontab이었습니다.  Crontab 크론탭(crontab)은 리눅스와 유닉스에서 사용하는 시스템 스케줄러입니다. 크론탭을 사용하면 특정 시간이나 주기에 스크립트, 명령어 또는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크론탭은 사용자별로 설정되며, 각 사용자는 자신의 크론탭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크론탭에 추가된 작업은 특정 시간 또는 주기에 실행되며, 이를 통해 일상적인 관리 작업이나 자동화된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주로 백업 작업, 로그 파일의 정리, 시스템 모니터링, 자동화된 스크립트 실행 등과 같은 용도로 사용..

Exp/Linux 2024.05.06

[Linux] rsync라는 명령어를 발견하였다...

안녕하세요 ki입니다.오늘의 Exp는 rsync명령어입니다.이 전 Exp에서 다뤘던 파일 전송을 하면서 배우게 됐습니다.2024.04.25 - [Exp/Linux] - [Linux] scp 명령어에 대해서 [Linux] scp 명령어에 대해서안녕하세요 ki입니다.이번 Exp는 Scp 명령어입니다.로컬에서 서버로 파일을 옮겨야 할 때 사용한 경험이 있습니다.지금은 FIleZilla나 WinSCP를 사용해서 GUI로 편하게 파일을 전송하고 있습니다. scp란kkkkt.tistory.com  rsync격 또는 로컬 시스템 간에 파일 및 디렉토리를 동기화하는 유용한 도구입니다. 주로 파일 백업, 데이터 복제, 파일 전송 등에 사용됩니다. rsync는 기본적으로 ssh를 사용하여 원격 호스트와 통신하며 파일을 전..

Exp/Linux 2024.05.03

[Linux] 리눅스 경로는 어디서부터 일까?(2)

안녕하세요 ki입니다.오늘 Exp는 지난 Exp에 이어 경로에 대한 명령어에 대해 적어보려고 합니다.2024.04.28 - [Exp/Linux] - [Linux] 리눅스 경로는 어디서부터일까?(1) [Linux] 리눅스 경로는 어디서 부터일까?(1)안녕하세요 ki입니다.오늘  Exp는 리눅스에서 경로 얻는 방법입니다.기본적으로 pwd라는 명령어로 경로를 얻을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 쉘스크립트를 작성에 정확한 경로를 얻어야 하고서버에 파kkkkt.tistory.com 제가 명령어에 대해 적는 이유는 쉘스크립트 작성 시 절대경로를 찾아 파일을 실행시키고 필요시 경로를 설정하기도 하여 공유를 하려고 합니다.    pwd 기본적으로 pwd라는 명령어로 경로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pwd 명령어는 "print ..

Exp/Linux 2024.04.30

[Linux] 리눅스 경로는 어디서 부터일까?(1)

안녕하세요 ki입니다.오늘  Exp는 리눅스에서 경로 얻는 방법입니다.기본적으로 pwd라는 명령어로 경로를 얻을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 쉘스크립트를 작성에 정확한 경로를 얻어야 하고서버에 파일 저장 시  경로를 properties에 기재하는 등 다양한 이유로 기본적인 지식을 알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리눅스의 파일 리눅스 시스템에서는 모든 정보와 장치가 파일 단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리눅스 파일 시스템- 리눅스 시스템 내의 많은 파일들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디렉토리를 계층적으로 구성하고  구성된 파일과 디렉토리의 집합을 파일 시스템(File System)이라고 합니다.- 파일 시스템 계층구조 표준(FHS, Filesystem hierarchy Standard)에 의해 디렉토리 구조를 정의합니..

Exp/Linux 2024.04.28

[Linux] 파일에 권한을 바꿔보자

안녕하세요 ki입니다.이번 Exp는 파일의 권한을 변경하는 명령어 chmod입니다.지금까지 Exp는 파일을 움직이는 명령어였는데요.2024.04.25 - [분류 전체 보기] - [Linux] 명령어로 파일을 움직여 보자 [Linux]명령어로 파일을 움직여 보자안녕하세요 ki입니다.이번 Exp는 리눅스 파일 이동 관련 명령어입니다.Crontab으로 일정 시간에 백업을 하는 개발을 하면서 파일 이동과 복사를 필요했던 경험이 있습니다.이전 글에서는 로컬에서kkkkt.tistory.com파일을 조작할 때에도 권한이 없음으로 설정이 됐으면 조작이 제한적입니다.최소 읽기 권한은 있어야 이동이나 복사가 가능합니다.저 또한 파일을 읽어야 할 상황에서 읽기 권한이 없어 chmod권한을 부여하여 개발을 했던 경험이 있었습..

Exp/Linux 2024.04.25

[Linux]명령어로 파일을 움직여 보자

안녕하세요 ki입니다.이번 Exp는 리눅스 파일 이동 관련 명령어입니다.Crontab으로 일정 시간에 백업을 하는 개발을 하면서 파일 이동과 복사를 필요했던 경험이 있습니다.이전 글에서는 로컬에서 서버로 보내거나 서버에서 로컬로 파일을 옮기는 명령어에 대해서 공유했습니다.2024.04.25 - [Exp/Linux] - [Linux] scp 명령어에 대해서 [Linux] scp 명령어에 대해서안녕하세요 ki입니다.이번 Exp는 Scp 명령어입니다.로컬에서 서버로 파일을 옮겨야 할 때 사용한 경험이 있습니다.지금은 FIleZilla나 WinSCP를 사용해서 GUI로 편하게 파일을 전송하고 있습니다. scp란kkkkt.tistory.com 기본적인 명령어로서 필수적으로 알고 있으면 리눅스 사용 시 편리한 명령..

Exp/Linux 2024.04.25

[Linux] scp 명령어에 대해서

안녕하세요 ki입니다.이번 Exp는 Scp 명령어입니다.로컬에서 서버로 파일을 옮겨야 할 때 사용한 경험이 있습니다.지금은 FIleZilla나 WinSCP를 사용해서 GUI로 편하게 파일을 전송하고 있습니다. scp란?SCP는 Secure Copy Protocol의 약자로, 원격 호스트 간에 파일 및 디렉토리를 안전하게 복사하기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SSH(보안 쉘)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며, 데이터 전송 시 암호화되어 보안을 유지하고 보통은 리눅스 또는 유닉스 시스템에서 사용합니다.     사용방법 SCP를 사용하여 파일을 복사할 때는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사용합니다.scp [옵션] [파일명] [옮길 경로 대상] 소스는 원본 파일 또는 디렉토리의 경로입니다.대상은 목적지 파일 또는 디렉토리의 경로입니다..

Exp/Linux 2024.0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