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Exp 28

[Linux] rsync라는 명령어를 발견하였다...

안녕하세요 ki입니다.오늘의 Exp는 rsync명령어입니다.이 전 Exp에서 다뤘던 파일 전송을 하면서 배우게 됐습니다.2024.04.25 - [Exp/Linux] - [Linux] scp 명령어에 대해서 [Linux] scp 명령어에 대해서안녕하세요 ki입니다.이번 Exp는 Scp 명령어입니다.로컬에서 서버로 파일을 옮겨야 할 때 사용한 경험이 있습니다.지금은 FIleZilla나 WinSCP를 사용해서 GUI로 편하게 파일을 전송하고 있습니다. scp란kkkkt.tistory.com  rsync격 또는 로컬 시스템 간에 파일 및 디렉토리를 동기화하는 유용한 도구입니다. 주로 파일 백업, 데이터 복제, 파일 전송 등에 사용됩니다. rsync는 기본적으로 ssh를 사용하여 원격 호스트와 통신하며 파일을 전..

Exp/Linux 2024.05.03

[Linux] 리눅스 경로는 어디서부터 일까?(2)

안녕하세요 ki입니다.오늘 Exp는 지난 Exp에 이어 경로에 대한 명령어에 대해 적어보려고 합니다.2024.04.28 - [Exp/Linux] - [Linux] 리눅스 경로는 어디서부터일까?(1) [Linux] 리눅스 경로는 어디서 부터일까?(1)안녕하세요 ki입니다.오늘  Exp는 리눅스에서 경로 얻는 방법입니다.기본적으로 pwd라는 명령어로 경로를 얻을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 쉘스크립트를 작성에 정확한 경로를 얻어야 하고서버에 파kkkkt.tistory.com 제가 명령어에 대해 적는 이유는 쉘스크립트 작성 시 절대경로를 찾아 파일을 실행시키고 필요시 경로를 설정하기도 하여 공유를 하려고 합니다.    pwd 기본적으로 pwd라는 명령어로 경로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pwd 명령어는 "print ..

Exp/Linux 2024.04.30

[Linux] 리눅스 경로는 어디서 부터일까?(1)

안녕하세요 ki입니다.오늘  Exp는 리눅스에서 경로 얻는 방법입니다.기본적으로 pwd라는 명령어로 경로를 얻을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 쉘스크립트를 작성에 정확한 경로를 얻어야 하고서버에 파일 저장 시  경로를 properties에 기재하는 등 다양한 이유로 기본적인 지식을 알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리눅스의 파일 리눅스 시스템에서는 모든 정보와 장치가 파일 단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리눅스 파일 시스템- 리눅스 시스템 내의 많은 파일들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디렉토리를 계층적으로 구성하고  구성된 파일과 디렉토리의 집합을 파일 시스템(File System)이라고 합니다.- 파일 시스템 계층구조 표준(FHS, Filesystem hierarchy Standard)에 의해 디렉토리 구조를 정의합니..

Exp/Linux 2024.04.28

[Linux] 파일에 권한을 바꿔보자

안녕하세요 ki입니다.이번 Exp는 파일의 권한을 변경하는 명령어 chmod입니다.지금까지 Exp는 파일을 움직이는 명령어였는데요.2024.04.25 - [분류 전체 보기] - [Linux] 명령어로 파일을 움직여 보자 [Linux]명령어로 파일을 움직여 보자안녕하세요 ki입니다.이번 Exp는 리눅스 파일 이동 관련 명령어입니다.Crontab으로 일정 시간에 백업을 하는 개발을 하면서 파일 이동과 복사를 필요했던 경험이 있습니다.이전 글에서는 로컬에서kkkkt.tistory.com파일을 조작할 때에도 권한이 없음으로 설정이 됐으면 조작이 제한적입니다.최소 읽기 권한은 있어야 이동이나 복사가 가능합니다.저 또한 파일을 읽어야 할 상황에서 읽기 권한이 없어 chmod권한을 부여하여 개발을 했던 경험이 있었습..

Exp/Linux 2024.04.25

[Linux]명령어로 파일을 움직여 보자

안녕하세요 ki입니다.이번 Exp는 리눅스 파일 이동 관련 명령어입니다.Crontab으로 일정 시간에 백업을 하는 개발을 하면서 파일 이동과 복사를 필요했던 경험이 있습니다.이전 글에서는 로컬에서 서버로 보내거나 서버에서 로컬로 파일을 옮기는 명령어에 대해서 공유했습니다.2024.04.25 - [Exp/Linux] - [Linux] scp 명령어에 대해서 [Linux] scp 명령어에 대해서안녕하세요 ki입니다.이번 Exp는 Scp 명령어입니다.로컬에서 서버로 파일을 옮겨야 할 때 사용한 경험이 있습니다.지금은 FIleZilla나 WinSCP를 사용해서 GUI로 편하게 파일을 전송하고 있습니다. scp란kkkkt.tistory.com 기본적인 명령어로서 필수적으로 알고 있으면 리눅스 사용 시 편리한 명령..

Exp/Linux 2024.04.25

[Linux] scp 명령어에 대해서

안녕하세요 ki입니다.이번 Exp는 Scp 명령어입니다.로컬에서 서버로 파일을 옮겨야 할 때 사용한 경험이 있습니다.지금은 FIleZilla나 WinSCP를 사용해서 GUI로 편하게 파일을 전송하고 있습니다. scp란?SCP는 Secure Copy Protocol의 약자로, 원격 호스트 간에 파일 및 디렉토리를 안전하게 복사하기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SSH(보안 쉘)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며, 데이터 전송 시 암호화되어 보안을 유지하고 보통은 리눅스 또는 유닉스 시스템에서 사용합니다.     사용방법 SCP를 사용하여 파일을 복사할 때는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사용합니다.scp [옵션] [파일명] [옮길 경로 대상] 소스는 원본 파일 또는 디렉토리의 경로입니다.대상은 목적지 파일 또는 디렉토리의 경로입니다..

Exp/Linux 2024.04.25

[Linux] 쉘스크립트로 If문을 만들어보자

안녕하세요 ki입니다.이번 Exp는 쉘스크립트에 If문입니다.개발에서 없어서는 안 될 If문을 쉘스크립트로 사용하는 법을 공유하려고 합니다.ㅎㅎ if [ 조건 ]; then # 조건이 참일 때 실행할 명령어들elif [ 다른조건 ]; then # 다른 조건이 참일 때 실행할 명령어들else # 위의 모든 조건이 거짓일 때 실행할 명령어들fi 저희가 알고 있는 If문처럼 [대괄호] 안에 조건을 작성하고 true일 경우 then 아래에 있는 명령어들이 실행되고, false인 경우에는 else 아래에 있는 명령어들이 실행됩니다. elif는 저희가 알고 있는 else if를 뜻하고 동일하게 then 아래에 있는 명령어들이 실행됩니다.  쉘스크립트에서도 비교 연산자들이 ..

Exp/Linux 2024.04.23

[Linux] 이건 알아야 "리눅스 좀 써봤구나" 할텐데

안녕하세요. ki입니다. 오늘 Exp는 리눅스에 대해 알아야 도움 되는 지식들입니다. 저는 처음 리눅스를 사용하면서 쉘스크립트, vi에디터, Bash가 무엇인지 모르고 사용했습니다. 그래서 많이 알려지고 Deep 한 리눅스에 대한 지식보다는 업무를 위한 지식과 용어를 정리하려고 합니다. 쉘 스크립트(Shell Script) 쉘 스크립트(Shell Script)는 리눅스 및 Unix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스크립트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 주로 쉘(Shell) 환경에서 사용되며, 사용자가 명령어를 스크립트로 작성하여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게 해 줍니다. 텍스트 파일로 작성되며 파일의 첫 줄에는 해당 스크립트를 실행할 쉘의 경로를 지정하는 shebang(#!)을 작성합니다. 대표적으로 Bash가 있습니다. Bas..

Exp/Linux 2024.04.21

[보안] 단방향 해시 함수 PBKDF

안녕하세요 ki입니다. 이번 Exp는 암호화알고리즘 중 단방향 해시 함수입니다. 클라우드 솔루션 개발에 투입했을 때 비전공자인 저는 개발 지식 부족하여 암호 알고리즘에 대해 알지 못했습니다. ( 지금은 기사실기 준비를 하면서 알게 된 부분입니다 …ㅜ) 투입했던 클라우드 솔루션 기업은 해시함수 알고리즘인 SHA-256를 이용하였고 암호 알고리즘 개념을 몰랐던 저는 단방향 해시 함수부터 시작하여 PBKDF 등 알게 된 부분을 공유하려고 합니다. 단방향 해시 함수(One-way Hash Function) 단방향 해시 함수(One-way Hash Function)는 주어진 입력 데이터를 고정된 크기의 고정된 출력 값으로 변환하는 함수입니다. 이 함수는 입력 값에 대해 해시 값(해시 코드)을 생성하며, 이해할 수..

Exp/보안 2024.04.19

[Network] HTTP Status Code (HTTP 상태 코드)

안녕하세요 ki입니다. 이번에 소개할 Exp는 HTTP Status Code입니다. 저번 글과 마찬가지로 클라우드 솔루션 개발 투입 시에 알게 된 정보입니다. (Swagger로 테스트할 때 다양한 상태코드를 만났습니다...) HTTP 상태 코드(HTTP Status Code)는 HTTP 프로토콜을 통해 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하는 상태 메시지입니다. 상태 코드들은 클라이언트에게 요청이 성공했는지 또는 어떤 문제가 발생했는지를 알려줍니다. 다양한 상황에 따라 다양한 상태 코드가 사용됩니다. 위에 이미지처럼 일반적으로 5가지로 분류합니다. 1xx 번대 (Informational - 정보 전달): 요청이 수신됐고 처리가 진행 중임을 나타냄 추가 작업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 2xx 번대 (Success - 성공..

Exp/네트워크 2024.04.16